비파괴시험 (NDT) 비파괴검사 (NDI) 비파괴평가 (NDE) |
비파괴시험(NDT)는 소재, 기기, 구조물의 품질관리(QC)나 품질보증(QA)의 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계측기법으로 재료, 제품, 구조물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험 대상물을 손상, 분리, 파괴시키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험체의 표면 내부의 결함유무와 그 상태 또는 대상물의 성질, 내부 구조 등을 조사하는 시험전체를 말한다. 즉 비파괴시험은 대상이 되는 시험체를 파괴시키지 않고 그 건전성, 성능, 결함의 전재상태 등을 조사하기 위한 단순한 결함 검출기법을 말한다.
비파괴검사(NDI)는 비파괴시험(NDT)를 한 후 그 결과와 기능 및 건전성의 판정기준에 근거하여 그 시험 대상물이 사용 가능한가 어떤가의 합부 판정까지를 내리는 것을 말한다. 즉, 그 제품을 그대로 사용 또는 판매해도 좋은 지를 판정을 내려야 하고, 이를 위해서는 관련 규격 등에 근거한 합부판정 기준이 필요하게 된다.
재료나 제품의 원형과 그 기능을 파괴하거나 변화사키지 않고, 재료의 조직 특성을 알아내고 결함의 유무나 그 존재의 위치, 크기, 모양, 분포상태 등을 알아내는 시험 및 검사 방법.
최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산업설비의 건전성(integrity)평가에 핵심기술이 되고 있는 비파괴검사의 새로운 개념으로 유비쿼터스(ubiquitous) 기술을 매개로 한 정보화의 시대를 접하면서 급속도로 바뀌어가고 있다.
비파괴검사로 얻어진 정보 및 신호는 통신 매체로 세계 어디서나 얻을 수 있어 설비나 기계의 건전성을 개별적 또는 종합적으로 상시 감시 온라인 모니터링 할 수 있는 SHM(Structural Health Monitoring)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.
산업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비파괴검사 방법으로는 가장 간단하고 기본이 되는 육안검사에서부터 체적검사 방법인 방사선투과검사법(RT)과 초음파탐상검사법(UT), 표면검사방법인 자분탐상검사(MT), 침투탐상검사(PT), 와전류탐상검사(ET)등 이 있으며, 그 외에도 음향방출시험(AE), 열적외선열화상법 (IRT)등이 있다. |
|
내부결함검출 | RT (방사선 투과 시험)
UT (초음파 탐상 시험)
| |
표면결함검출 |
MT (자분 탐상 시험)
PT (침투 탐상 시험)
ET (와전류 탐상 시험) | |
가동중검사(ISI) |
AE(음향방출시험) | IRT(열적외선열화상시험) |
LT(누설검사) | 모아레법 | |
비접촉식(Non Contact) |